인쇄기초자료
인쇄기초
종이의
발명은 중국의 채륜(왕명에 의하여)/ 최초의 목판인쇄물은
무구정광 다라니경
활자의 발명순서: 찱흙(필승)- 나무(왕정)- 구리(1234
상정고금예문) - 납(구텐베르그)성분 납, 안티몬,
주석)
① 오목판(글자나 그림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것을 말한다, 일명 그라비어라고
한다)
발명자는 칼클리치, 사진스크린은 백선스크린을
사용한다)
② 평판(물과 기름의 반발을 이용하여 인쇄한다)일명 옵셋인쇄/간접인쇄(판통,
블랭킷, 압통)
2. 인쇄의 5요소: 원고,판,인쇄기,잉크(Y,M,C,K),피인쇄체
3. 인쇄의 방식: 볼록판(화선부가 비화선부 보다 높다), 평판(화선부와 비화선부가 일정하다, 물과 기름의 반발을 이용한다. 평요판이나 PS판을 사용한다. 오목판(화선부가 오목하게 패어 있다) 지폐,수표,유 가증권이나 벽지인쇄가 가능하다, 폴리에틸렌, 셀로판,
알미늄박에도 가능), 스크린인쇄(나무틀이나
알루미늄틀에 망사나 스테인레스 금속을
사용하여 망을 매서 스퀴지를 사용한다) 피인쇄체를 구분 하지
않는다.
4. 제판법의 분류
활판:
납활자를 모아서 짠판을 활판이라 한다.
연판:
활판에다 지형을 만들어 만든판을 말한다.
전태판:
전기도금을 이용하여 만든판을 말한다.
선화판:
문자와 선으로 구성된 사진 볼록판이다.
사진판(망점판): 농담이 있는 그림이나 사진등을 망점으로 구성한 사진
볼록판이다.
석판: 탄산칼슘이 주성분으로, 물과 잉크의 반발을 이용한다.
금속평판:
아연판이나 알루미늄판에 화선부와 비화선부를 구성하여 화학적 인쇄방식
사진평판: 사진의 농담으로 구성
콜로타이프:
젤라틴이 주성분으로 경화된 젤라틴이 화선부가 되어 인쇄.
망점이 형성되지 않아도 사진과 같이
인쇄가 된다.
5. 판면구성의 일반적인 원칙
① 원고의 내용과
성격,책의 성격등을 고려해 기획의도를 정확히 파악한다.
② 판면구성의
요소들을 올바로 사용하고 구성원칙을 지킨다.
③ 올바른
판면구성요소로서 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독자들이 읽기 쉽도록 시각적으로 효 효과적으로 표현을 한다.
④ 각 구성요소에서
내용의 중요성에 따라 판면에 힘의 질서을 부여한다.
⑤ 판형과 판면의
크기: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성격, 독자대상에 따라
적당한 규격을 선택해야 한다. 그림이나 사진위주의 시각적으로 중시되는 내용은 판형이 커야하고 시각적인
경향이 강한 잡 지는 판형이 커야한다.
⑥ 판형의 분할고
조합: 판면에 구성되는 여러요소들을 균형과 통일성,
유사성, 지속성, 효율성, 질서
가 부여되어야 한다. 판면의
분할에서 세로로 나뉘는 것을 단(Column), 가로 분할을 더하여
필드
(Field)를 만든다.
⑦ 그림과 글자의
레이아웃: 그림과 글자의 어우러짐(레이아웃)을 위해서는 형태,색채,대비,균형,조화, 율동,통일,비율,위치방향,시선의
우선순위,수량,분할구성,공간과 여백, 간격활용,
글자장식, 입체적구
성을
계획한다.
⑧ 원고지정의
기본요소: 원고지정이란 글자구성의 원리에 기초해서 글자의 표현요소를 지정하는 글
자운용기법이다.
6. 사진평판
원고를 제판카메라로
촬영하거난 스케너로 색분해한 망점필름으로 감광판에 빛쬠하여 판면에 화선부를 만드는 작업을 사진평판이라
한다.
화선부는 친유성을 만들고 비화선부는 친수성을 가지도록 제판하는
것이다.
① 판연마: 판에다 물을 머금을 수 있도록 판을 갈아 표면적을 늘여주는 작업을 말한다.
② 감광액: 빛을 받아 화상을 형성할수 있게 해주는 것을 말한다. 중크롬산
감광액, 디아죠 화합물사용
③ 제판법: 난백(계란흰자+중크롬사
암모늄)/ 평오목판 / PS판(약품이 칠해져 있는 판)/ 와이프온판(디 아죠화합물을 직접칠하는 판)/ 다층평판(종류가 다른 금속/ 구리(친유)+크롬(친수)+철(지지
체)
감광액 - 화선잉크 - 락카 - 보호잉크 - 탈막
7. 인쇄의
기초
① 평압식
인쇄기
② 원압식
인쇄기
③ 윤전
인쇄기 (평판인쇄에 사용)
④ 오프셋
인쇄(판통/블랭킷통/압통으로 구성하며 잉크장치와 물장치가 있고 급지방식은 유니버설/스트
림피터 방식, 배지장치가 있다)
⑤ 그라비어 인쇄: 판통,잉크장치,독터장치,인압장치,건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