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왕자! 2006. 8. 2. 11:37

색채학

1)
: 우리의 눈으로 지각되는 대략 380~780nm의 파장을 가진 전자파
380nm
이하의 파장은 자외선 / 780nm이상의 파장은 적외선


2)
물체의 색

물체자체가 고유의 색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광원에서 비추어진 물체 표면의 빛이 각 파장에 따라 어떠한 비율로 반사되는가의 결과에 따라 물체의 색이 달라진다
.
표면색: 표면에 빛을 반사하여 나타나는 색
투과색: 색유리와 같이 빛을 투과하여 나타나는 색
분광반사율: 표면색을 흰색광으로 비추었을 때에 파장별로 빛을 반사하는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파장별 반사율, 이미지 스캐너의 색분해에서의 반사원리
분광 투과율: 투과색의 파장별 투과율, 이미지 스케너의 색분해에서 투과분해 원리.
색의 양상에 따른 분류
물체색: 물체가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색

표면색: 물체의 표면에 반사되어 보이는 색

투과색: 빛이 물체를 투과하여 나타나는 색

거울색: 거울처럼 평활한 표면에 비치는 색

금속색: 금속에 나타나는 색

공간색: 유리병속에 액체나 얼음처럼 3차원 공간의 투영한 부피가 느껴지는 색

간섭색: 빛의 간섭에 의해 나타나는 색(비누거품, 수면위의 기름 등에서 나타나는 무지개 색
.
광원색: 전등,형광등,네온사인,신호등,촛불

형광색: 형광물질에 의한 색


2)
빛에 대한 감도

암소시: 어둠속에서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청록광의 시감도가 높다)
명소시: 색차이를 감지하는 것(황록광의 감도가 높다/터널이나 광장,도로등이 조명에 사용)
명순응: 어두운곳에서 밝은곳으로 나올 때 밝음에 적응하는 상태
암순응: 밝은곳에서 어두운곳으로 들어갈 때 어둠에 적응하는 상태.
색순응: 눈이 조명에 맞게 색광에 대하여 순응하는 현상
항상성: 동일한 물체는 위치나 주위의 상황이 변하여도 거의 같은 크기, 모양, 밝기, 컬 러로 지각되는 현상

3)
,헬름흘츠의 3원색 설 --- 빛의 3원색

뷰르스터 --- 색의 3원색


4)
색의 분류

무채색: 흰색에서 검정까지의 중간에 있는 여러 가지 회색층, 채도는 없고 명도만 있 다. 즉 유채색의 기미가 없는 계열의 색을 통털어 무채색이라 한다.
무채색은 차지도 따뜻하지도 않은 중성색 (회색
)
유채색: 순수한 무채색을 제외한 모든색, 어느정도 색감만 가지고 있으면 모두 유채색.

5)
색의 3속성과 색입체

속성: 색상 / 명도(밝기) / 채도(색의 맑기)
그레이스케일: 검정색과 흰색을 아래위에 놓고 감각적인 척도에 따라 균일한 단계를 내어놓은 명도의 기준척도.

6)
가법혼합

가산혼합이라고도 하며 빛의 3원색인 Red/ Green/ Blue 색광의 혼합으로 더할수록 밝아지는 혼색
.
빨강 필터는 600~700nm/ 녹색필터는 500~60nm / 파랑필터는 400~500nm의 빛만을 투과하며 RGB를 혼색하면 흰색이 남는다
. R+G=Yellow / G+Bl = Cyan / R+G=Magenta

7)
감법혼합

감산혼합이라고도 하며 3원색은 Y,M,C이다. 색료의 혼합(그림물감,인쇄잉크,염료등)을로 섞으면 섞을수록 명도가 낮아진다
. M+Y = Red / Y+C = Green / C+M = Blue
C+M+Y = K(Black)

3)
중간혼합

평균혼합이라고도 하며 회전혼합과 병치혼합이 있다
.
회전혼합: 둘이상의 색을 회전판위에서 회전시키며 혼합한 색수와 관계없이

                  혼색의 v평균농도가 된다.
병치혼합: 둘이상의 색선이나 점이 서로 조밀하게 병치되어 인접한 색과 혼합되어 보이는 현상

                 의 중간혼색, 색면적과 거리에 비례되는 눈의 망막위에서 혼합되는 생리적인 현상.
병치감범 혼색은 점묘법,모자이크,직물의 색이나 독자적인 C,M,Y,K 하프톤 점을 바로 이웃하게 분포시켜서 원하는 혼합색으로 인식하도록 표현하는 원색인쇄에 이용
.

4)
색의 표시법

색감각: 일정한 관측조건 밑에서 정확하게 받아들이는 것
색지각: 일정한 관측조건없이 평상시에서 무의식적으로 색을 보는 것과 같이

               모든 영향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색   광: 지각적인 요소를 없애고 순수한 감각으로 받아들이는 색감각
색   채: 지각적인 요소가 있는 관측조건에서 색자극을 특성으로 색지각, 색채의 표시체계를

               표색계라하고 혼색계와 현색계로 분류.
혼색계: 색채(빛의색)을 표시하는 표색계. CIE표색계
현색계: 색채(물체색)을 표시하는 표색계, 특정의 착색물체 즉 색표의 표준이다.

먼셀표색계와 오스트발트 표색계
.
먼셀표색계
현제 우리나라 공업규격으로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교육용으로 채택된 표색계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라고 하며 HV/C이다
.
오스트발트 표색계
색량의 대소 즉 혼합하는 색량의 비율에 의해 만들어진 체계

빛을 완전히 흡수하면 (Black), 완전히 반사하면(White), 완전한 색을 (Full Colocr: 순색) C라 한다
.

5)
색이 지각적인 효과

색의 대비: 어떤색이 다른색의 영향으로 인하여 실제와는 다른색으로 변해보이는 현상.
색의 동화: 어떤색이 인접한 주위의 색과 가깝게 느껴지는 경향

                   즉 옆에 있는 색과 닮은 색으로 변해보이는 현상
동시대비: 두색이상을 동시에 볼 때 색의 3속성의 차이에 변화가 일어나는 대비현상
명도대비: 명도가 다른 두색이 서로의 영향으로 인하여 밝은색은 더 밝게,

                  어두운 색은 더어둡게 보이는 현상. 명도차가 클수록 대비현상이 강하게 일어난다.
색상대비: 색상이 다른 두색의 영향으로 인하여 색상차가 크게 보이는 현상.

                  색상차가 크면 색상이 서로 거리가 먼쪽으로 변해 보이는 것.
채도대비: 채도가 다른 두색이 서로의 영향으로 인하여 채도차가 크게 보이는 현상.

                  즉 채도가 높은 색은 터높게, 낮은 색은 더 낮게 보인다.
보색대비: 보색을 옆에 놓으면 그 무채색은 옆에 있는 유채색의 보색인 유채색의 기미를 보인다.
계시대비: 계속대비라고도 하며 어떤색을 보고난 후에 다른 색을 보는 경우 먼저 본색의 영향

                  으로 다음에 보는 색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
연변대비: 어떤 두색이 맞붙어 있을때에 그 경계의 언저리가 경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보다 색이 3속성별로 색상대비, 명도대비, 채도대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것.
면적대비: 면적의 크고 작음에 의하여 색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
한난대비: 색의 차고 따뜻함에 변화가 오는 대비.
잔      상: 자극을 주어 색지각이 생긴후 자극을 제거하여도 그 흥분이 남아서 원자극과

                  동질 또는 이질의 감각경험을 일으키는 것. 정이 잔상과 부의 잔상이 있다.
색의 진출 후퇴
고명도, 고채도, 난색계의 색의 진출, 팽창해 보이고

저명도, 저채도, 한색계의 색은 후퇴, 수축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