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료/학습자료

산업 및 인간공학 용어정리

어린왕자! 2007. 10. 18. 09:03

1. 인간공학의 목표

 1) 실용적 효능-생산성, 이익

 2) 가치추구-건강, 안전, 만족 등과 같은 인생의 가치기준(human value)를 유지하거나 높이는

인간복지의 추구(노동의 질, 삶의 질, 편리성, 만족감, 쾌적감, 안전성, 동기부여)

2. 인간공학의 접근방법
  인간이 만들어 사용하는 물건, 도구 또는 환경을 설계하는데 인간의 특성과 행동에 관한 적절한

  정보를 체계로 적용하여 인간의 제특성을 시스템설계에 반영한다.

3. 인간공학의 철학적 배경
 
1) 기계위주

  -. MMI   -. Fitting the man to the task   -. 소급개조, 시행착오, 비용, 손실

 2) 인간(작업자) 위주

  -. Fitting the task to the man   -. 인간의 제특성에 관심집중

  -. 정합성 개념적용(ex:소음)    -. 양립성(정신적 특성고려)

 3) 기계-인간의 최대효율

  -. 시스템 효율의 최대 = 기계의 성능 + 인간의 기능

 4) 인간의 가치중심

  -. 맞춤화(특화)

4. 인간공학의 연구영역
 
1) 실험심리학 - 자극에 대한 5감 등을 관측하고 적성검사 및 성격검사 등 심리측정

 2) 의학 및 생리학 - 해부학, 신경생리학, 생체 및 인체 측정, 에너지 대사 연구

 3) 광의의 작업연구 ? 시간연구, 동작연구, 작업공간 및 작업영역의 설계, 직무설계 연구

 4) 환경공학 ? 산업위생, 소음, 진동, 조명, 색채, 온도, 습도, 분진 등의 연구

 5) 제어공학 ? 정보이론, 인간-기계체계, 인간-검퓨터 인터페이스 등의 연구

 6) 안전공학 ? 인간실수, 스트레스, 산업안전 등의 연구

 7) 산업디자인 ? 작업 및 주거공간, 의자, 가구, 의복, 신발, 실내장식 등 연구

 8) VDT 작업 ? 사무자동화 환경공학적 측면, 인간노동 측면, 인간 스트레스 등 연구.

5. 인간공학의 적용분야

 1) 산업제품의 설계 및 평가 ? 가구, 가전제품, 자동차, 사무용품, 생활용품

 2) 주거 및 작업 ? 주택, 사무실, 공장, 병원, 학교, 백화점

 3) 교통 및 수송시스템 ? 항공기 조종석, 선박의 조종실, 교통신호체계

 4) 작업관리 ? 작업능률 향상, 작업환경의 평가 및 개선, 피로·스트레스 관리, 작업훈련, 요원선발

 5) 안전관리 ? 재해분석, 인간실수분석, 사고예방, 직업병 예방

 6) 건강 및 복지 ? 노인, 장애자 및 여성 근로자의 능력분석, 재활공학, 건강관리, 스포츠 분야

 7) 국방관련 ? 무기체계의 설계 및 운용시스템, 요원선발 및 훈련

 8) 원자력 안전 ? 제어실의 설계, 안전성 평가, 매뉴얼 설계

6. 안전의 개념
 
1) 안전이란 위험요소로부터 차단되어 있는 상태

     원시시대 : 본능적 안전, 자기보호본능적 안전 → 산업혁명시대 : 기업책임의 안전 →

  현대 : 생활안전, 삶의 질, 국가책임의 안전으로 진보함.

 2) 안전의 3요소

  -. 교육적 요소

     조직 내의 모든 사람이 작업과 관련된 기능 및 전문 기술지식을 습득하거나 안전수칙

     및 법규에 관한 내용을 교육, 훈련

  -. 기술적 요소

     기계, 설비 등을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공학적, 기술적 관점에서 연구

  -. 관리적 요소

     안전관리 체제의 정비, 안전관리계획의 수립, 안전활동의 실적·평가

7. 양립성, 정합성
 
1) 양립성

   -. 개념양립성 : 정보암호화, 색상

   -. 운동양립성 : 방향에 대한 심리

   -. 배치양립성 : 표시장치, 조종장치

 2) 정합성

   위의 3가지가 효과적 일 때 학습효과, 작업방법, 기능의 습득이 가능

8. 재해평가 척도의 특징, 관련성

 1) 연천인율

    근로자 1,000명 당 1년간 발생하는 사상자 수

    사상자 수 / 연평균 근로자 수 × 1,000 = 도수율 × 2.4

(1) 특징

-. 근로자의 근로시간수, 근로일수 변동이 많은 작업장에는 부적합(:건설업, 벌목장)

-. 재해발생 빈도에 근로시간, 출근율, 가동일수는 무관

-. 근로자수는 총 인원을 나타내며, 연간을 통해 변화가 있는 경우는 재적 근로자수의

   평균치를 취합한다.

-. 계산이 쉽다.

-. 사상자 수에는 사망자,부상자 ( 장애,일정기간 치료 요구자, 응급 치료자 포함),

직업병 환자들도 포함.

 2) 도수율

    연간 총 근로시간 합계 1,000,000 시간당의 재해발생건수. 빈도율 이라고도 함.

    도수율(FR)=재해발생건수/연근로시간수 × 1,000,000

    (연근로시간수는 실 근로자수 × 근로자 1인당 1년간 근로시간수로 계산한다.)

(1)    특징

-. 재해발생 빈도수를 표시하는 척도

-. 연근로시간수의 산출이 어려운 경우 1 8시간, 1개월 25, 300일을 시간으로

환산한 2,400 시간으로 한다. (잔업의 경우 잔업시간 반영 해야 함)

-. 사고 강도를 고려하지 않는다.

-. 도수율 × 2.4 = 연천인율의 관계식이 성립된다.

 3) 강도율

    연 근로시간 1,000시간당의 재해에 의해서 잃어버린 근로손실일수.

    강도율(SR) = 근로손실일수 / 연근로시간수 × 1,000

 ※ 근로손실일수의 산정 기준(국제기구 ILO 기준)

   -. 사망 및 영구 전노동불능(신체장애등급 1~3) : 7,500

     7,500일 산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재해로 인하 사망자의 평균수명 : 30

     * 노동이 가능한 연령 : 55

     * 1년의 노동일수 : 300

     * 손실근로연수 : 55 ? 30 = 25

     * 사망으로 인한 근로손실일수 : 300 × 25 = 7,500

   -. 영구 일부 노동불능(신체장애 4 ~ 14)

장애등급        

4

5

6

7

8

9

10

11

12

13

14

손실일수

5,500

4,000

3,000

2,200

1,500

1,000

600

400

200

100

50

   -. 일시 전노동불능 상해에 의한 재해손실일수의 산출공식

      근로손실일수 = 휴업일수 × 300/365

(1) 특징

-. 사고가 일어남으로써 상실한 노동시간은 상해의 강도와 비례

-. 발생건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상해 정도를 모두 고려한다.

 4) 도수율과 강도율의 관계

   (1) 환산도수율(F)과 환산강도율(S)

       평생 근로시간은 100,000시간으로 하고, 100,000시간다의 재해건수를 환산도수율(F),

근로손실일수를 환산강도율(S)이라 하면,

F = 도수율(FR) × 100,000 / 1,000,000 = 도수율(FR) / 10 ()

S = 강도율(SR) × 100,000 / 1,000 = 강도율(SR) × 100 ()

   (2) 평균강도율

       재해 1건당의 근로손실일수로서, 앞으로 얼마나 재해를 당할 수 있는지를 예측한다.

       S / F = SR × 100 / (FR / 10) = SR / FR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