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60년대 까지는 자연광을 제어하는 Optics중심으로 발전되었으나 레이저 발명을 계기로 |
새로운 빛의 응용기술개발이 시작되었고, 1990년 이후 새로운 광원과 응용기술의 실용화가 |
본격화되면서 인공광원을 활용하는 Photonics 중심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 |
 |
 |
 |
1980년대 중반 디지털 기술인 CD가 발전하면서 기존의 아날로그 레코드(LP)를 완전히 대체했고, 1990년대 후반 에는 MD가 카세트 테이프를 축출하였다. 21세기 들어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롯한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되고 있다. | |
 |
 |
 |
광기술과 전자기술, 광기술과 정밀기계기술 등 다종 다양한 기술의 융·복합화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제품이 창출되었다. | |
 |
 |
 |
PC의 네트워크 접속률 증대와 인터넷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화상정보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디지털카메라, 이미지스캐너, 광디스크, 컬러프린터 등의 수요가 폭증 하는 등 지식정보화가 급진전되면서 네트워크 접속에 따른 광제품의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 | |
 | |
 |
 |
 |
14세기부터 카메라의 원리 발명⇒ 17세기초 망원경 발명 ⇒ 현재 전자와 광학 기술을 이용한 전자현미경 | |
 |
1906년 백열전구 발명⇒ 1938년에 형광등 발명 ⇒ 1980년대 고효율 램프 발명 ⇒ 현재는 반도체 광원을 이용한 조명 기구 들이 출시 ⇒ white LED 조명시장 대체 | |
 |
1961년 레이저의 발명⇒ 1970년에 영국에서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실험이 성공 ⇒ 현재는 테라급 전송이 가능 | |
 |
1961년 He-Ne gas laser 개발⇒ 1964년 CO2 레이저를 통하여 안과, 치과, 피부과 등에서 의료치료가 시작 ⇒ 현재는 레이저를 이용한 초정밀 가공 및 환경 분석 |
21세기 광산업은 광의 외형적인 형태를 활용하기보다 광이 가지는 물리적 특성을 활용하는 |
단계로 진입 |
광산업분야의 세계적인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서는 광공학내의 각 기술 분야에 대한 균일한 |
발전이 필요하고, 아울러 반도체, 가공 및 장비 등 다른 분야 기술들과 접목시켜 |
하이브리드 형태로 승화시켜야 함 | | |
 |
 |
 |
미국, 일본 등 광선진국에선 산업, 국방 등의 중요성 때문에 중앙정부 차원에서 육성 |
광산업이 발전한 나라는 미국과 일본이지만 광 기술 수준이 매우 높은 나라는 군사적 |
목적으로 과거 기초 연구에 집중 투자한 러시아(구 소련)와 중국 | |
 |
원재료나 인건비 등의 비중이 낮고 기술정도에 따라 부가가치의 극대화가 가능 | |
 |
연구개발, 시험생산, 양산, 인력양성 등이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모여야 시너지 효과를 |
발휘할 수 있음 | |
 |
기초기술, 고급기술 인력을 근간으로 하는 과학산업 |
광산업의 기반은 물리학, 화학 등 다양한 기초과학분야에서 전자공학, 소재공학, 화학공학 |
등의 응용학문까지 범위가 다양해 한 분야만의 강점으론 완전한 성공을 거둘 수 없는 |
복합산업임. |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기술적으로 돌파, 극복해 가야하는 산업으로서 기술인력의 질과 |
수준이 산업경쟁력의 척도 |
라이프 사이클이 짧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의 창출이 끊임없이 이뤄져야 하는 산업 | |
 |
호주의 Photonics CRC의 경우 1992년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후 1차 기반조성 단계를 지나 |
현재는 향후 9년간의 사업추진을 목표로 추가 지원 |
과학집약도가 높아 시험 및 계측장비, 생산장치 등에 의존하는 비중이 커 초기투자가 많이 |
필요함. | |
 |
범용 제품의 대량생산보다는 기술적, 산업적인 수요에 적합한 주문형 생산방식이 필요한 |
산업 |
업체간 연계와 협력에 의해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변화에 탄력적으로 |
대응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역할이 중시됨. |
규모보다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이를 효과적으로 네트워크화하는 것이 중요 | |
 |
국내 시장이 작아 글로벌 마켓에서 승부를 걸어야 하는 분야로 수출비중이 매우 높음 | |